양도소득세 7

[양도소득세]일반건물 기준시가 기준 세액계산

일반건물 기준시가인터넷을 이용한 건물기준시가 자동계산방법국세청 홈택스 “조회/발급 → 기타 조회 → 기준시가 조회(건물기준시가-양도)” 화면에 가서 공부상의 기본자료만 입력하면 일반건물 기준시가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양도당시 기준시가기준시가 조회화면에서 “신축연도, 취득연도, 양도연도, 개별공시지가, 구조, 면적”을 입력하면 양도당시 건물기준시가가 자동계산 됩니다. 취득당시 기준시가1) 2001. 1. 1. 이후에 취득한 취득당시 건물기준시가 계산화면상 “취득연도 및 양도연도” 란에 모두 “취득연도”를 입력하고 나머지의 자료를 입력하면 취득당시 건물기준시가가 계산됩니다. 2) 2000. 12. 31. 이전에 취득한 취득당시 건물기준시가 계산화면상 “취득연도”는 건물의 실제 취득연도를, “양도연도”..

[양도소득세]개별주택 기준시가(’05.7.13. 이후 양도분부터 적용)

개별주택 기준시가(’05.7.13. 이후 양도분부터 적용)개별주택가격 확인각 지자체의 누리집에서 열람이 가능합니다. 양도당시 기준시가양도일 현재 국토교통장관이 공시한 개별주택가격(예)양도일 2020. 8. 5.기준시가 고시 : 2020. 4. 29.자 고시가액 200,000,000원(답)양도당시 기준시가 ⇒ 200,000,000원임 취득당시 기준시가1)개별주택가격 최초공시일 이후에 취득한 경우취득당시 기준시가 : 취득일 현재 국토교통부장관이 공시한 개별주택가격 2)개별주택가격 최초공시 전에 취득한 경우 아래 산식에 의하여 계산한 금액을 취득당시 개별주택 기준시가로 합니다. 위 산식에서 토지 또는 건물의 기준시가는 토지 또는 일반건물 기준시가를 말함 유의사항양도한 부동산이 주택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

[양도소득세]1세대 1주택 고가주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고가주택을 매도할 때 양도소득세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궁금하시죠? 특히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양도차익 중 12억 원을 초과하는 부분만 과세되기 때문에 정확한 계산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가주택의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을 예제와 함께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1. 고가주택이란?고가주택이란 주택과 부수토지를 포함한 실거래가가 12억 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9억 원이 기준이었지만, 2022년부터 12억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2. 고가주택의 양도소득세 과세 기준1세대 1주택 고가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12억 원을 초과하는 양도차익 부분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됩니다. 즉, 12억 원 이하의 양도차익에 대해서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양도소득세 계산 공식전체 양도차익 = 양도가액 -..

[양도소득세]장기보유특별공제율 총정리(2024년 최신 업데이트)

부동산을 오래 보유하면 양도소득세를 줄일 수 있는 장기보유특별공제(LTGC, Long-Term Capital Gains Deduction)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공제율과 적용 기준을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1. 장기보유특별공제란?부동산(토지·건물)을 오랜 기간 보유한 경우, 보유 기간에 따라 양도소득세 일부를 공제해 주는 제도입니다. 단, 1세대 1주택 여부, 거주 기간, 다주택 보유 여부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집니다.2. 장기보유특별공제율 (2024년 기준)1세대 1주택 (거주기간 충족 시)보유 기간                                                                                                           공제율3년 이상2..

[양도소득세]양도소득세 법정 신고기한 완벽 정리

부동산, 주식 등의 자산을 양도할 때 발생하는 양도소득세! 하지만 신고 기한을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양도소득세 법정 신고기한을 상세히 정리해드릴 테니, 꼭 확인하고 기한 내 신고하세요양도소득세란?양도소득세란 토지, 건물, 주식 등의 자산을 양도(매매, 증여 등)함으로써 발생한 이익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이는 예정 신고와 확정 신고로 나뉘며, 자산 종류에 따라 신고 기한이 달라집니다.양도소득세 법정 신고기한1. 토지, 건물, 부동산 관련 권리, 기타 자산, 신탁 수익권예정 신고: 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확정 신고: 양도일이 속하는 연도의 다음 해 5월 1일 ~ 5월 31일2. 토지거래계약 허가구역 내 토지 (허가 전 대금 청산한 경우)예정 신고: 허가일이 속하는 ..

[양도소득세]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 연장 및 추가 대상 확대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 연장 및 추가 대상 확대2022년 5월 10일부터 2025년 5월 9일까지 한시적으로 다주택자의 양도소득세 중과 배제가 적용되며, 2024년부터는 일부 신규 주택이 추가되었습니다.중과 배제 추가 대상소형 신축주택 (2024.1.10.~2025.12.31. 취득)전용면적 60㎡ 이하수도권 6억원, 비수도권 3억원 이하아파트 제외준공 후 미분양 주택전용면적 85㎡ 이하취득가액 6억원 이하비수도권 소재적용 시기: 2022년 5월 10일부터 2025년 5월 9일까지 양도하는 분에 한해 적용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 보유·거주기간 재기산 제도 폐지과거에는 다주택자가 주택을 처분한 후 최종적으로 1주택만 남았을 경우, 보유·거주기간이 새롭게 계산(재기산) 되었지만, 개정 후에는..

2024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정기 고시

국세청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1조와 소득세법 제99조에 따라 2024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를 정기 고시했으며,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시가는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의 상속·증여세 등을 과세할 때 시가를 알 수 없는 경우 사용하며, 재산세·종합부동산세와 같은 보유세 및 건강보험료 등 사회보험료 부과에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이번 고시 물량은 전년 대비 5.9% 증가한 229만 호이며, 금리 상승 및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오피스텔은 전년 대비 평균 4.77%, 상업용 건물은 평균 0.96% 기준시가가 하락하였습니다. 1. 기준시가의 활용용도 상속·증여세는 시가를 기준으로 과세하나 시가를 알 수 없는 경우 고시된 기준시가를 과세기준으로 합니다. 양도소득세의 경우 취득 당시의 ..

부동산 정보 2023.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