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세제 개편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양도소득세 관련 규정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 이후 양도분부터 적용되는 주요 개정사항은 부동산을 보유하거나 거래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배제, 고가 겸용주택 과세 방식 등 주요 변경 사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적용대상 부수토지 범위 조정
기존에는 수도권 도시지역 내 주택 부수토지의 비과세 범위가 주택 정착면적의 5배까지 인정되었으나, 개정 후 3배로 축소되었습니다.
1) 개정 전 vs 개정 후
항목 | 개정 전 | 개정 후 |
수도권 도시지역 (주거·상업·공업지역) |
주택 정착면적의 5배 | 주택 정착면적의 3배 |
수도권 녹지지역 | 주택 정착면적의 5배 | 변동 없음 (5배 유지) |
수도권 외 지역 | 주택 정착면적의 10배 | 변동 없음 |
적용 시기: 2022년 1월 1일 이후 양도하는 분부터 적용
2. 고가 겸용주택의 주택과 주택 외 부분 과세 기준 변경
기존에는 건물 내 주택 연면적이 주택 외 연면적보다 크면 전체를 주택으로 간주하여 양도소득세를 계산했으나, 개정 후에는 주택 부분만 주택으로 보고 과세하게 됩니다.
항목 | 개정 전 | 개정 후 |
주택 연면적 ≤ 주택 외 연면적 | 주택 부분만 주택으로 간주 | 동일 |
주택 연면적 > 주택 외 연면적 | 전체를 주택으로 간주 | 주택 부분만 주택으로 간주 |
적용 시기: 2022년 1월 1일 이후 양도하는 분부터 적용
[양도소득세]장기보유특별공제율 총정리(2024년 최신 업데이트)
[양도소득세]장기보유특별공제율 총정리(2024년 최신 업데이트)
부동산을 오래 보유하면 양도소득세를 줄일 수 있는 장기보유특별공제(LTGC, Long-Term Capital Gains Deduction)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공제율과 적용 기준을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1. 장기보유특별공
1-plus.tistory.com
[양도소득세]양도소득세 신고 준비서류 및 신고.납부방법
[양도소득세]양도소득세 신고 준비서류 및 신고.납부방법
1. 양도소득세 신고 준비서류양도소득세 신고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신고서와 납부서를 준비해야 합니다. 주요 서식은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출력할 수 있으며, 추가로 다음 서류들이 필요할
1-plus.tistory.com
'양도소득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소득세]양도소득세 법정 신고기한 완벽 정리 (18) | 2025.02.05 |
---|---|
[양도소득세]부동산 주식 양도소득세 세액계산 흐름도 완벽 정리 (17) | 2025.02.05 |
[양도소득세]양도소득세 완벽 정리! 부동산, 주식 양도 시 필수 체크 사항 (88) | 2025.02.04 |
[양도소득세]양도소득세 신고와 납부, 제대로 알고 준비하기 (16) | 2025.02.04 |
[양도소득세]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 배제 연장 및 추가 대상 확대 (4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