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속세와 증여세를 신고하거나 납부하는 과정에서 부과될 수 있는 ‘가산세’. 신고 의무를 소홀히 하거나 납부를 지연하면 생각보다 큰 세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속세 및 증여세 가산세의 종류와 부과 사유, 세액 계산 방식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상속세 및 증여세 가산세란?
가산세란, 납세자가 법정기한 내에 신고·납부 등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추가로 부과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무신고, 과소신고, 납부지연 외에도 공익법인 관련 규정 위반 시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무신고 및 과소신고 가산세
구분 | 부과 사유 | 가산세액 |
일반 무신고 | 신고하지 않은 경우 | 무신고 납부세액 × 20% |
부정 무신고 | 고의적 누락 등 부정행위 | 무신고 납부세액 × 40% |
일반 과소신고 | 일부 금액만 신고 | 과소신고 납부세액 × 10% |
부정 과소신고 | 고의로 축소신고 | 과소신고 납부세액 × 40% |
* 과소신고 가산세 면제 사유
다음과 같은 사유가 있다면 과소신고 가산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 소송 등으로 인해 상속(증여) 재산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 공제 적용 착오 (상증세법 제18조~제24조 등)
- 재산 평가가액의 차이
3. 납부지연 가산세
- 미납/미달 납부 및 초과환급 시 발생
- 계산 방식:
세액 × 지연일수 × 이자율(22/100,000) - 적용 기간:
- 미납 기간: 납부기한 다음 날 ~ 자진납부일
- 초과환급 기간: 환급일 다음 날 ~ 납세고지일
2020년 1월 1일부터 '납부불성실 가산세' → '납부지연 가산세'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4. 공익법인 관련 가산세
공익법인이 세무신고나 자산관리 의무를 다하지 못했을 때 부과되는 가산세입니다.
항목 | 가산세율 | 부과 기준 |
보고서 미제출 | 1% | 불분명한 출연재산 금액 등 |
주식보유기준 초과 | 5% | 허용기한 종료일 기준 초과 주식 시가 |
세무확인 및 장부 미작성 | 0.07% | 수입금액 + 출연재산 |
이사기준 초과 | 100% | 초과 이사에게 지급한 경비 |
계열기업 주식 초과보유 | 5% | 초과 주식 시가 |
광고·홍보 위반 | 100% | 정상 대가 없는 광고·홍보 경비 |
운용소득 미사용 | 10% | 기준금액 미달 사용분 |
전용계좌 미사용 | 0.5% | 미사용 금액 또는 수입금액 기준 |
결산서류 공시 미이행 | 0.5% | 자산총액 기준 |
반응형
5. 기타 제출 의무 관련 가산세
항목 | 가산세율 | 부과 기준 |
보험금명세서 미제출 | 0.2% | 누락·불분명 금액 |
명의개서명세서 등 미제출 | 0.02% | 해당 금액 |
창업자금 사용명세 불성실 | 0.3% | 불분명 금액 |
상속세나 증여세를 준비하면서 가산세까지 부과된다면 부담이 배가 됩니다.
특히 공익법인 운영 시에는 보고서 제출, 주식보유 기준, 전용계좌 사용 등 세부사항까지 꼼꼼히 관리해야 불필요한 세금 납부를 피할 수 있어요.
[상속세]상속세 계산 흐름도 총정리
상속세 신고를 앞두고 계신가요? 복잡한 세금 계산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피상속인의 거주 여부에 따라 상속세 계산 방식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흐름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1-plus.tistory.com
반응형
'상속세 증여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세]상속세 계산 시 꼭 알아야 할 상속재산 가액의 범위와 추정 상속재산 정리 (44) | 2025.04.25 |
---|---|
[상속세]상속세 신고 시 유의사항 총정리|신고서 작성부터 제출까지 한눈에 (36) | 2025.04.24 |
[상속세]상속세 계산 흐름도 총정리 (45) | 2025.04.22 |
[상속세]상속세 신고기한과 제출서류 총정리, 상속이 개시되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정보 (16) | 2025.04.21 |
[상속세]상속세란 무엇인가요? (18)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