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소득세 정보

[근로소득](특별소득공제)특별소득공제란? 1. 보험료 공제

세상을 품은 왕후 2025. 3. 8. 09:05

특별소득공제는 근로소득이 있는 사람(일용근로자 제외)이 부담하는 보험료 및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을 소득에서 공제해주는 제도입니다.


즉, 내가 납부한 보험료나 주택 관련 비용을 세금 계산 시 공제받을 수 있는 혜택이죠

특별소득공제 대상, 공제 방법, 그리고 계산 예시까지 쉽게 알려드릴게요. 특별소득공제에는 보험료 공제,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가 있습니다.

 

 

1. 특별소득공제란?

특별소득공제는 근로소득이 있는 사람(일용근로자 제외)**이 납부한 보험료와 주택자금을

근로소득금액에서 차감(공제)하는 제도입니다.

 

1) 특별소득공제 항목

구    분 공제대상 대상자
보험료 국민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근로자가 본인 부담한 보험료
고용보험 본인 부담 보험료  
주택자금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의 40%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 상환액

일용근로자는 제외되며,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만 해당됩니다.

 


2. 보험료 공제

특별소득공제 중 보험료 공제는 국민건강보험료와 고용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적용됩니다.

 

1) 공제 대상

  • 국민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포함)
  • 고용보험

2) 공제 금액

  • 근로자가 본인 명의로 부담한 보험료 전액

3) 적용 방법

  • 국민건강보험료: 급여를 지급한 달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
  • 사용자가 근로자를 대신하여 부담한 보험료 상당액는 근로자의 급여액에 포함하여 공제

  즉, 본인이 부담한 건강보험료·고용보험료는 전액 소득공제가 가능

 

 

3. 보험료 특별소득공제 활용 예시

예제: 보험료 공제

  • 근로자가 본인 부담 국민건강보험료 120만 원, 고용보험료 30만 원을 납부
  • 총 공제 금액 = 120만 원 + 30만 원 = 150만 원

결과:
근로소득금액에서 150만 원 공제 가능

근로자가 부담한 건강보험료·고용보험료는 전액 공제

 

반응형

4. 보험료 특별소득공제 신청 방법

1) 연말정산 시 자동 반영

  • 국민건강보험료 및 고용보험료는 회사에서 자동 반영

2) 필요한 서류

  • 국민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 고용보험료 납부 확인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