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을 임차할때 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죠? 이때 주택임차차입금(임차보증금, 전세보증금 대출) 이자를 납부했다면, 일정 금액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즉, 임차차입금에 대해서도 세금을 줄일 수 있는 절세 방법
이번 글에서는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 공제 조건, 공제 한도, 신청 방법까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
주택 관련 비용을 부담하는 근로자를 위한 특별소득공제 항목입니다.
1) 대상자
-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
-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
- 세대원이 공제를 받지 않은 경우, 근로소득이 있는 세대원도 가능
2) 공제 대상 주택
- 국민주택규모(85㎡ 이하)의 주택
- 2013.8.13 이후 원리금 상환액 지급분
- 주거용 오피스텔 포함
3) 공제 금액
- 원리금 상환액의 40%
- 단, 주택마련저축 공제금액과 합쳐 400만 원 한도
4) 계산 방법
주택임차차입금원리금상환액공제금액=min(ㄱ,ㄴ)- ㄱ = (주택마련저축 납입액 × 40%)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 40%)
- ㄴ = 연 400만 원
예제 : 주택임차차입금 공제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1,000만 원
- 공제율: 40%
- 공제 금액 = 1,000만 원 × 40% = 400만 원
결과:
근로소득금액에서 400만 원 공제 가능
반응형
2.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특별소득공제 신청 방법
1) 연말정산 시 자동 반영
- 주택자금 관련 공제는 은행 대출 상환 증명서 등을 제출해야 공제 가능
2) 필요한 서류
주택자금 대출 상환 증명서
3. 특별소득공제로 절세 혜택 받자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은 최대 400만 원까지 공제 가능
- 소득이 많은 사람일수록 공제를 적극 활용하면 절세 효과 UP
[ 이 글과 함께보면 좋은 글]
[근로소득](특별소득공제)특별소득공제란? 1. 보험료 공제
[근로소득](특별소득공제)특별소득공제란? 1. 보험료 공제
특별소득공제는 근로소득이 있는 사람(일용근로자 제외)이 부담하는 보험료 및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을 소득에서 공제해주는 제도입니다.즉, 내가 납
1-plus.tistory.com
반응형
'근로소득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소득](세액공제)1. 근로소득 세액공제란? 근로소득 세액공제 계산방법 (100) | 2025.03.11 |
---|---|
[근로소득](특별소득공제)3.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쉽게 이해하기 (41) | 2025.03.10 |
[근로소득](특별소득공제)특별소득공제란? 1. 보험료 공제 (60) | 2025.03.08 |
[근로소득]근로소득금액이란? 근로소득금액과 총급여액의 차이, 쉽게 이해하기 (64) | 2025.03.07 |
[근로소득]근로소득 수입시기와 귀속연도 이해하기 (87)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