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의료비 특별세액공제 계산 사례 |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기본공제대상자(나이 및 소득의 제한을 받지 않음)를 위하여 해당 과세기간에 의료비를 지급하는 경우 해당하는 금액을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
-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금액이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임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금액 한도 및 세액공제율> | ||
구 분 | 세액공제 대상금액 한도 |
세액공제율 |
일반 기본공제대상자 의료비 | 연 700만 원 한도 | 15% |
본인・65세이상・6세이하・ 장애인 의료비 |
한도 없음 | 15% |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 한도 없음 | 20% |
난임시술비 | 한도 없음 | 30% |
※ 산후조리원 비용 : 출산 1회당 200만 원 한도
사례1 | 총급여 6천만 원인 근로자가 ①기본공제대상자인 부양가족을 위하여 의료비 110만 원, ②미숙아 자녀를 위하여 의료비 200만 원을 지급한 경우 의료비 세액공제금액은? |
◊의료비는 총급여액의 3%을 초과하여 지출한 금액에 대해 15%(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20%, 난임시술비 30%)의 공제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을 세액공제합니다. ◊총급여액의 3% 해당금액 : 180만 원(총급여액의 3% = 6천만 원×3%)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금액 :130만 원 (310만원 – 180만원) 의료비 총 사용액 : 310만원 (미숙아 2백만원+ 부양가족 110만원) 공제불가 금액 = 총급여의 3% = 180만원(부양가족 110만원+미숙아 70만원) ☞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금액은 130만원입니다. |
사례2 | 총급여 4천만 원 근로자가 본인 등 의료비 1천만 원, 일반 기본공제 대상자 의료비 100만 원일 경우 의료비 세액공제액은? |
◊총급여액의 3% 해당금액 : 120만 원(총급여액의 3%= 4천만 원×3%) ◊일반 기본공제대상자 의료비 공제 대상 : 100만 원 - 120만 원 = △ 20 만원 ◊본인등 의료비 공제 대상 : 980만 원(1천만 원 - 20만 원) ◊의료비 세액공제액 : 147만 원(980만 원 × 15%) ☞ 위 근로자의 의료비 세액공제금액은 147만 원 입니다. |
사례3 | 총급여 4천만 원 근로자가 본인 등 의료비 1천만 원, 일반 기본공제 대상자 의료비 100만 원일 경우 의료비 세액공제액은? (당해연도 실손의료보험금 200만 원을 수령한 경우) |
◊근로자가 직접 부담하는 의료비를 말하므로, 본인과 기본공제 대상자를 위해 지출한 의료비(1,100만 원)에서 실손보험금 수령액(200만 원)을 차감하여 세액공제 대상 의료비를 계산합니다. ◊실손보험금 수령액 차감 후 세액공제 대상 의료비 : 900만 원(본인 등 의료비) ◊총급여액의 3% 해당금액 : 120만 원(총급여액 4천만 원 × 3%) ◊본인등 의료비 공제 대상 : 780만 원(900만 원 - 120만 원) ◊의료비 세액공제액 : 117만 원(780만 원 × 15%) ☞ 위 근로자의 의료비 세액공제금액은 117만 원 입니다. |
사례4 | 총급여액 5천만 원 근로자가 배우자를 위해 산후조리원 비용으로 300만 원을 지출한 경우 의료비 세액공제금액은? |
◊의료비는 총급여액의 3%을 초과하여 지출한 금액에 대해 15%(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20%, 난임시술비 30%)의 공제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을 세액공제합니다. ◊일반 기본공제대상자인 배우자를 위해 지출한 의료비는 7백만 원까지만 지출액으로 인정합니다. ◊총급여액의 3% = 50,000,000 × 3% = 1,500,000원 ◊공제대상 의료비 = 2,000,000원 (산후조리원 비용은 2백만 원 한도) ◊세액공제 대상금액 = 2,000,000원 - 1,500,000원 = 500,000원 ☞ 위 근로자의 의료비 세액공제금액은 500,000원 × 15% = 75,000원입니다. |
사례5 | 총급여액 6천만 원 근로자가 배우자를 위해 난임시술비 400만원, 산후조리원 비용으로 250만 원을 지출하고, 병원 치료비로 350만 원을 지출한 경우 의료비 세액공제금액은? |
◊의료비는 총급여액의 3%을 초과하여 지출한 금액에 대해 15%(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20%, 난임시술비 30%)의 공제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을 세액공제합니다. ◊일반 기본공제 대상자인 배우자를 위해 지출한 의료비는 7백만 원까지만 지출액으로 인정합니다. ◊총급여액의 3% = 60,000,000 × 3% = 1,800,000원 ◊공제대상 의료비 = 난임시술비 4,000,000원 (전액 공제대상) 산후조리원 비용 2,000,000원 (산후조리원 비용은 2백만 원 한도) 기타 의료비 3,500,000원 합계 9,500,000원 ◊세액공제 대상금액 = 4,000,000원 + [(2,000,000+3,500,000)-1,800,000] = 7,700,000원 ☞ 위 근로자의 의료비 세액공제금액은 1,755,000원입니다. * 난임시술비 4백만원×30%+일반 의료비(산후조리원 포함) 370만원×15% = 1,755,000 |
사례6 | 총급여액 8천만 원 근로자가 배우자를 위해 산후조리원 비용으로 200만 원을 지출하고, 병원 치료비로 300만 원을 지출한 경우 의료비 세액공제금액은? |
◊의료비는 총급여액의 3%을 초과하여 지출한 금액에 대해 15%(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20%, 난임시술비 30%)의 공제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을 세액공제합니다. ◊일반 기본공제대상자인 배우자를 위해 지출한 의료비는 7백만 원까지만 지출액으로 인정합니다. ◊총급여액의 3% = 80,000,000 × 3% = 2,400,000원 ◊공제대상 의료비 = 산후조리원 비용 2,000,000원 기타 의료비 3,000,000원 합계 5,000,000원 ◊세액공제 대상금액 = 5,000,000원 - 2,400,000원 = 2,600,000원 ☞ 위 근로자의 의료비 세액공제금액은 2,600,000원 × 15% = 390,000원입니다. |
728x90
반응형
'2024년귀속 연말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연말정산]기부금 특별세액공제 계산 사례 (12) | 2025.02.02 |
---|---|
[2024연말정산]교육비 특별세액공제 계산 사례 (17) | 2025.02.02 |
[2024연말정산]보험료 특별세액공제 계산 사례 (16) | 2025.02.02 |
[2024연말정산]결혼세액공제 계산 사례 (8) | 2025.02.02 |
[2024연말정산]자녀세액공제 자녀기본공제 출산 입양 공제 계산사례 (7)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