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증여세 신고납부기한, 신고 대상, 신고기한, 필요서류에 관한 정보를 정리하였습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표와 설명을 함께 배치하고, 실무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1. 증여세 신고기한은 언제까지?
증여세는 재산을 증여받은 날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반드시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예시: 2025년 5월 10일에 증여받았다면, 8월 31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2. 증여유형별 신고납부기한 정리
구분 | 법정 신고기한 |
일반적인 증여 | 증여받은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
특정법인 거래로 인한 증여의제 | 해당 법인의 법인세 신고기한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 | 수혜법인의 법인세 신고기한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
일감떼어주기 증여의제 | 수혜법인의 법인세 신고기한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
3. 증여유형별 제출 서류 목록
1) 일반 증여 (기본세율)
- 증여세 과세표준신고 및 자진납부 계산서
- 증여재산 및 평가명세서 (부표1)
- 채무 등 입증서류
2) 일반 증여 (특례세율: 창업자금, 가업승계)
- 자진납부 계산서(특례용)
- 창업자금 or 가업승계 주식 평가명세서 (부표1 또는 2)
- 특례신청서
- 입증서류
3) 특정법인과 거래 통한 증여의제
- 자진납부 계산서
- 증여재산 평가명세서 (부표1)
- 입증서류
4) 일감몰아주기
- 자진납부 계산서 (특수관계법인 거래용)
- 수증자 및 과세가액 계산명세서 Ⅰ, Ⅱ
- 소득금액조정명세서
- 지배주주와 특수관계법인 관계 확인서류
5) 일감떼어주기
- 자진납부 계산서 (사업기회 제공 이익용)
- 과세가액 계산명세서 A, B
- 소득금액조정명세서
- 관계 확인서류
4. 증여세, 기한 넘기면 가산세 발생
증여세는 신고기한 내 신고·납부하지 않으면 무신고가산세 및 납부불성실가산세가 부과됩니다.
- 꼭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라는 점 기억하시고
- 증여 종류에 따라 제출서류가 다르다는 점도 유의하세요.
5. 증여세 FAQ
Q. 가족 간 증여도 신고해야 하나요?
→ 네, 가족 간 증여도 과세 대상이며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Q. 현금만 증여받아도 신고해야 하나요?
→ 일정 금액 초과 시 반드시 신고해야 하며, 미신고 시 가산세 대상입니다.
Q. 해외 자산 증여도 포함되나요?
→ 수증자가 거주자인 경우, 국내외 자산 모두 과세 대상입니다.
반응형
[증여세]증여세란? 과세대상, 납세의무자, 증여일 기준까지 한눈에 정리!
[증여세]증여세란? 과세대상, 납세의무자, 증여일 기준까지 한눈에 정리!
증여세란? 타인 (증여자)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받은 사람(수증자)이 부담하는 세금입니다. 무상으로 유형·무형의 재산 또는 이익을 이전하거나 타인의 재산 가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말합니
1-plus.tistory.com
반응형
'상속세 증여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세]증여세 신고서 작성, 제출서류,증여세 신고 (24) | 2025.05.16 |
---|---|
[증여세]증여세 세액 계산 흐름도 (25) | 2025.05.15 |
[증여세]증여세란? 과세대상, 납세의무자, 증여일 기준까지 한눈에 정리! (42) | 2025.05.13 |
[상속세]상속세관련 주요서식 및 작성사례 (16) | 2025.05.12 |
[상속세]가업승계 지원제도ㅣ창업자금 증여세 과세특례 제도 총정리 (44)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