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소득세 정보

[비과세근로소득]생산직 근로자의 야간근로수당 비과세 기준 총정리

세상을 품은 왕후 2025. 3. 4. 09:44
반응형

근로자라면 누구나 추가 수당을 받을 때 세금이 얼마나 부과되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특히 생산직 근로자가 받는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의 비과세 기준은 많은 분이 알고 싶어 하는 정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야간근로수당 비과세 조건월급여 및 총급여 기준을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생산직 근로자의 야간근로수당, 비과세 대상이 될까?

일반적으로 근로자가 받는 급여는 소득세가 부과되지만,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일부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과세 적용 대상은 누구일까요?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근로자라면 야간근로수당 등의 일부 금액을 비과세 받을 수 있습니다.

1) 직종 요건: 생산직 및 관련 직종 근로자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생산직 근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장·광산에서 근무하는 생산직 근로자
  • 어업 종사자 중 어선 승무 선원 (단, 선장은 제외)
  • 운전·운송·판매·서비스직 및 단순 노무직 종사자 (소득세법 시행규칙 별표 2에 해당하는 직업군)

즉, 일반적인 사무직 근로자는 해당되지 않으며, 생산·운송·서비스직 종사자 중 특정 직종에 한해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2) 월정액급여 210만 원 이하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월정액급여가 21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여기서 월정액급여란?

  • 기본급, 직급별 급여, 수당 등을 포함한 금액
  • 단,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및 복리후생적 급여(식대, 교통비 등)는 제외

즉, 월정액급여 계산 시 야간근로수당은 포함되지 않으며, 기본급과 일반 수당이 210만 원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3)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액 3천만 원 이하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의 비과세를 적용받으려면 지난해 총급여액이 3천만 원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 총급여액에는 기본급 + 각종 수당 + 상여금 등이 포함됩니다.
  • 다만, 식대나 출퇴근 교통비 같은 실비변상적 급여는 제외됩니다.

2. 비과세 한도: 연 240만 원까지 가능

생산직 근로자가 받는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중 연 24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다만, 특정 직종은 비과세 한도가 다릅니다.

1) 비과세 적용 기준 정리

근로자 유형 비과세 한도
일반 생산직 근로자 연 240만 원까지
광산 근로자 및 일용근로자 한도 없이 전액 비과세
어선 승무 선원(선장 제외) 연 240만 원까지

1) 주의할 점

  • 월정액급여가 210만 원을 초과하는 달의 야간근로수당은 전액 과세됩니다.
  • 광산 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야간근로수당 전액 비과세 적용됩니다.

3. 생산직 근로자의 야간근로수당 비과세 적용 예시

예제 1)  : 비과세 적용 가능 사례

  • 김철수 씨는 공장에서 근무하는 생산직 근로자
  • 기본급: 200만 원
  • 야간근로수당: 20만 원
  •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2,800만 원
  1. 월정액급여(200만 원) ≤ 210만 원
  2. 총급여(2,800만 원) ≤ 3천만 원
  3. 야간근로수당(20만 원)은 비과세 적용 가능

예제 2) : 비과세 적용 불가 사례

  • 박영희 씨는 운송업에 종사하는 생산직 근로자
  • 기본급: 220만 원
  • 야간근로수당: 30만 원
  •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2,900만 원
  1. 월정액급여(220만 원) > 210만 원
  2. 비과세 적용 불가! 야간근로수당도 전액 과세

 

4. 생산직 근로자 야간근로수당 비과세 요건 한눈에 정리

 

  • 비과세 적용 직종: 공장 근로자, 광산 근로자, 운전·운송직, 일부 서비스직 등
  • 월정액급여 210만 원 이하
  •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3천만 원 이하
  • 연 240만 원까지 비과세 (광산근로자·일용근로자는 한도 없음)
  • 월정액급여가 210만 원을 초과하면 야간근로수당 전액 과세

생산직 근로자로서 연장·야간·휴일근로를 많이 한다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이 글과 함께 보면 좋은 글]

 

[비과세 근로소득]근로소득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소득의 종류

비과세 근로소득이란, 근로소득으로 인정되지 않아 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소득을 의미합니다.즉, 회사에서 제공하는 복지나 지원금 중 일부는 세금이 면제될 수 있다는 뜻이에요1. 비과세

1-plus.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