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소득세 정보

[근로소득]특별소득공제 총정리

세상을 품은 왕후 2025. 2. 19. 10:34
반응형

근로소득 특별소득공제에 대해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특별소득공제는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일용근로자 제외)가 건강보험료와 주택자금 등을 소득에서 공제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1. 특별소득공제 개요

특별소득공제란?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해당 과세기간 동안 본인이 부담한 국민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그리고 주택자금 원리금 상환액 등을 소득에서 공제받는 제도입니다.

공제 대상자

  •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 (일용근로자 제외)
  • 세대주 및 일정 요건을 갖춘 세대원, 외국인 근로자 포함

2. 특별소득공제 항목

1) 보험료 공제

  • 국민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노인장기요양보험료
  • 공제 금액: 근로자가 부담하는 본인 명의 보험료 전액

(1)공제 방법: 급여 지급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

(2)사용자가 근로자를 대신해 부담한 보험료 상당액은 근로자의 급여액에 가산 후 공제

2) 주택자금 공제

①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공제

  • 대상자: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 (일정 요건을 갖춘 세대원 및 외국인 포함)
  • 공제 금액: 원리금 상환액의 40%
  • 한도: 주택마련저축 공제금액과 합산하여 연 400만 원 한도

   (1)공제 대상 주택: 국민주택규모(주거용 오피스텔 포함)

   (2)과세기간 종료일 현재 무주택 세대주만 공제 가능

 

②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 대상자: 무주택 또는 1주택 세대주
  • 공제 금액: 이자 상환액 (상환 기간과 방식에 따라 공제 한도 상이)

   (1)공제 대상 주택: 취득 당시 기준시가 6억 원 이하 주택

   (2)세대원 요건 충족 시 세대원 본인 명의 주택도 공제 가능

반응형

3. 공제 한도 정리

(1)고정금리 방식: 차입금의 70% 이상을 고정금리 이자로 지급

(2)비거치식 분할상환 방식: 매년 차입금의 70% 이상을 분할 상환

 

4. 공제 적용 방법

  • 국민건강보험료: 급여 지급일 기준 과세기간 근로소득에서 공제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원리금 상환액의 40% 공제 (400만 원 한도)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차입조건 및 상환방식에 따라 공제 한도 적용
 

특별소득공제는 근로소득자에게 큰 절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본인이 대상자인지 확인하시고, 연말정산 시 빠짐없이 챙기시길 바랍니다. 공감과 구독은 사랑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