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귀속 연말정산

[2024연말정산]연금계좌 세액공제 계산사례

세상을 품은 왕후 2025. 2. 2. 01:45
728x90
반응형

연금계좌 세액공제 계산사례

연금계좌 세액공제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연금계좌에 납입한 금액 중 다음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해당 과세기간의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

소득세가 원천징수되지 아니한 퇴직소득 등 과세가 이연된 소득
연금계좌에서 다른 연금계좌로 계약을 이전함으로써 납입되는 금액

 

<총급여액별 공제비율>

총급여액
(종합소득금액)
세액공제 대상 연금계좌 납입한도
(퇴직연금 합산시 한도)
공제율
55백만원 이하
(45백만원 이하)
600만원
(900만원)
15%
55백만원 초과
(45백만원 초과)
12%

 

세액공제대상 연금계좌 납입액 : 아래의 연금계좌에 해당 과세기간에 납입하는 합계액을 900만 원을 한도로 하여 세액공제 적용(연금저축계좌 납입액 한도는 연 600만원)

-연금저축계좌금융회사 등과 체결한 계약에 따라 연금저축이라는 명칭으로 설정하는 계좌

-직연금계좌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른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DC)개인형 퇴직연금제도(IRP), 중소기업퇴직연금 또는 과학기술인공제회법에 따라 퇴직연금을 지급받기 위해 설정하는 계좌(확정기여형퇴직연금 사용자부담금은 제외)

사례1 연금계좌 세액공제 금액은? (총급여 55백만 원 이하)
                                                                                                            (단위 : 만원)

 

사례2 연금계좌 세액공제 금액은? (총급여 55백만 원 초과)
                                                                                                          (단위 : 만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