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소득세 정보

[퇴직소득]퇴직소득 수입시기: 언제 귀속되나요? (쉽게 정리)

세상을 품은 왕후 2025. 2. 28. 09:06
반응형

퇴직소득의 수입시기는 퇴직한 날을 기준으로 하지만, 일부 예외적으로 실제 지급일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소득의 귀속연도를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퇴직소득 수입시기(귀속연도) 기준

1) 기본 원칙

 

  • 퇴직소득은 퇴직한 날을 기준으로 수입시기를 결정합니다.

2) 예외적으로 지급받는 날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 국민연금법에 따른 일시금
  •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
    • 단, 분할 지급 시 최초 지급일 기준
  • 소기업·소상공인 공제에서 발생하는 소득
  • 퇴직판정 특례에 따른 중간정산 퇴직금
  • 과세이연된 퇴직소득을 연금 외 방식으로 수령하는 경우

즉, 일반적인 퇴직소득은 퇴직일 기준이지만, 일부 특별한 경우에는 지급일 기준이 적용됩니다.

 

반응형

2. 사례로 쉽게 이해하기

사례 1: 일반적인 퇴직금 지급

  • 퇴직일: 2019년 12월 31일
  • 퇴직금 지급일: 2020년 1월 10일
  • 퇴직소득 수입시기: 2019년 귀속(퇴직일 기준 적용)

사례 2: 중간정산 퇴직금 지급

  • 중간정산일: 2019년 12월 31일
  • 중간정산 퇴직금 지급일: 2020년 1월 10일
  • 퇴직소득 수입시기: 2020년 귀속(중간정산의 경우 지급일 기준 적용)

사례 3: 중간정산 퇴직금을 분할 지급하는 경우

  • 퇴직소득 수입시기: 최초 지급일 기준
  • 1차 지급 시 원천징수 후, 같은 연도 내 추가 지급분은 해당 지급 시 원천징수
  • 만약 1차 지급일과 동일한 연도에 미지급된 경우, 퇴직소득 지급시기 의제를 적용하여 원천징수

사례 4: 퇴직 후 다음 해에 추가 퇴직금을 지급하는 경우

 

  • 성과급 반영으로 퇴직금을 퇴직 다음 해에 추가 지급
  • 퇴직소득세 원천징수는 퇴직일(귀속연도) 기준
  • 최초 퇴직소득과 합산하여 지급하는 때에 원천징수

 

3. 핵심 정리 (한눈에 보기!)

1) 일반 퇴직금 → 퇴직일 기준
2) 중간정산 퇴직금 → 지급일 기준
3) 분할 지급하는 퇴직금 → 최초 지급일 기준
4) 퇴직 후 다음 해 추가 지급 → 원래 퇴직일 기준

 

퇴직소득을 언제 받은 것으로 간주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기준을 잘 활용하면 세무 신고 및 원천징수를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 글과 함께보면 좋은 글

 

[퇴직소득]퇴직판정 기준 총정리! 퇴직소득 인정 여부 한눈에 정리

세법상 퇴직판정 기준에 대해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퇴직소득이 인정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정확히 알아두면 세금 문제를 미리 대비할 수 있겠죠? 1. 퇴직소득이란? 사용자 부담금

1-plus.tistory.com

 

 

[퇴직소득]퇴직소득 세액정산이란? 계산 방법과 사례 총정리

퇴직소득을 받을 때, 세금이 어떻게 정산되는지 궁금하신가요? 퇴직소득세는 한 번에 지급받거나 중간정산을 받은 경우라도, 정산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소득 세액정

1-plus.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