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소득의 수입시기는 퇴직한 날을 기준으로 하지만, 일부 예외적으로 실제 지급일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소득의 귀속연도를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퇴직소득 수입시기(귀속연도) 기준
1) 기본 원칙
- 퇴직소득은 퇴직한 날을 기준으로 수입시기를 결정합니다.
2) 예외적으로 지급받는 날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 국민연금법에 따른 일시금
-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
- 단, 분할 지급 시 최초 지급일 기준
- 소기업·소상공인 공제에서 발생하는 소득
- 퇴직판정 특례에 따른 중간정산 퇴직금
- 과세이연된 퇴직소득을 연금 외 방식으로 수령하는 경우
즉, 일반적인 퇴직소득은 퇴직일 기준이지만, 일부 특별한 경우에는 지급일 기준이 적용됩니다.
2. 사례로 쉽게 이해하기
사례 1: 일반적인 퇴직금 지급
- 퇴직일: 2019년 12월 31일
- 퇴직금 지급일: 2020년 1월 10일
- 퇴직소득 수입시기: 2019년 귀속(퇴직일 기준 적용)
사례 2: 중간정산 퇴직금 지급
- 중간정산일: 2019년 12월 31일
- 중간정산 퇴직금 지급일: 2020년 1월 10일
- 퇴직소득 수입시기: 2020년 귀속(중간정산의 경우 지급일 기준 적용)
사례 3: 중간정산 퇴직금을 분할 지급하는 경우
- 퇴직소득 수입시기: 최초 지급일 기준
- 1차 지급 시 원천징수 후, 같은 연도 내 추가 지급분은 해당 지급 시 원천징수
- 만약 1차 지급일과 동일한 연도에 미지급된 경우, 퇴직소득 지급시기 의제를 적용하여 원천징수
사례 4: 퇴직 후 다음 해에 추가 퇴직금을 지급하는 경우
- 성과급 반영으로 퇴직금을 퇴직 다음 해에 추가 지급
- 퇴직소득세 원천징수는 퇴직일(귀속연도) 기준
- 최초 퇴직소득과 합산하여 지급하는 때에 원천징수
3. 핵심 정리 (한눈에 보기!)
1) 일반 퇴직금 → 퇴직일 기준
2) 중간정산 퇴직금 → 지급일 기준
3) 분할 지급하는 퇴직금 → 최초 지급일 기준
4) 퇴직 후 다음 해 추가 지급 → 원래 퇴직일 기준

퇴직소득을 언제 받은 것으로 간주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기준을 잘 활용하면 세무 신고 및 원천징수를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 글과 함께보면 좋은 글
[퇴직소득]퇴직판정 기준 총정리! 퇴직소득 인정 여부 한눈에 정리
세법상 퇴직판정 기준에 대해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퇴직소득이 인정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정확히 알아두면 세금 문제를 미리 대비할 수 있겠죠? 1. 퇴직소득이란? 사용자 부담금
1-plus.tistory.com
[퇴직소득]퇴직소득 세액정산이란? 계산 방법과 사례 총정리
퇴직소득을 받을 때, 세금이 어떻게 정산되는지 궁금하신가요? 퇴직소득세는 한 번에 지급받거나 중간정산을 받은 경우라도, 정산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소득 세액정
1-plus.tistory.com
'퇴직소득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소득]임원 퇴직소득금액 계산법 총정리! (법인세법 & 소득세법 기준) (25) | 2025.03.01 |
---|---|
[퇴직소득]퇴직판정 기준 총정리! 퇴직소득 인정 여부 한눈에 정리 (126) | 2025.02.25 |
[퇴직소득]퇴직소득세 이연이란? 개념부터 환급까지 총정리! (50) | 2025.02.25 |
[퇴직소득]퇴직소득 세액정산이란? 계산 방법과 사례 총정리 (83) | 2025.02.24 |
[퇴직소득]퇴직소득 원천징수 방법 (46)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