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대비를 위해 연금을 받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연금소득에 대한 세금 문제도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금소득금액 계산방법과 연금소득공제, 주택담보노후연금 이자비용 공제 등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1. 연금소득금액 계산방법
연금소득금액은 총연금액에서 연금소득공제를 차감하여 계산됩니다.
연금소득금액 = 총연금액 - 연금소득공제
여기서 총연금액은 과세 대상이 되는 연금 지급액을 의미하며, 비과세 소득은 제외됩니다.
2. 연금소득공제 (소득세법 제47조의2, 최대 900만 원 한도)
연금소득공제는 총 연금액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최대 900만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총 연금액 | 공제액 |
350만 원 이하 | 총 연금액 전액 |
350만 원 초과 ~ 700만 원 이하 | 350만 원 + (초과 금액의 40%) |
700만 원 초과 ~ 1,400만 원 이하 | 490만 원 + (초과 금액의 20%) |
1,400만 원 초과 | 630만 원 + (초과 금액의 10%) |
예를 들어, 연금소득이 800만 원이라면 연금소득공제는 490만 원 + (800만 원 - 700만 원) × 20% = 510만 원이 됩니다.
3. 주택담보노후연금 이자비용 공제
연금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아래 요건을 충족하는 주택담보노후연금을 받은 경우, 해당 과세 기간에 발생한 이자비용 상당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 요건
-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담보노후연금보증을 받거나 금융회사에서 주택담보노후연금을 지급받은 경우
- 연금 가입 당시 주택의 기준시가가 9억 원 이하일 경우
- 주택담보노후연금 지급받은 연금에서 발생한 이자비용 증명서를 제출할 경우
- 공제 한도: 연간 최대 200만 원
4. 연금소득 과세표준 확정신고 방법
연금소득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므로, 과세표준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둬야 합니다.
(1) 연금소득금액 계산
연금소득금액 = 총연금액 - 연금소득공제 (900만 원 한도)
(2) 종합소득 과세표준 계산
종합소득 과세표준 = 연금소득금액 + 다른 종합소득 (이자, 배당, 사업, 근로, 기타소득) - 종합소득공제 - 주택담보노후연금 이자비용 공제 (200만 원 한도)
(3) 세액 계산
- 산출세액: 과세표준에 기본세율 적용
- 결정세액: 산출세액에서 자녀세액공제, 표준세액공제 등 적용 후 최종 확정
5. 연금소득의 분리과세 기준
공적연금을 제외한 연금소득 중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분리과세가 가능합니다.
- 연금계좌에서 이연퇴직소득을 연금으로 수령하는 경우
- 세액공제를 받은 연금계좌 납입액과 운용실적 증가분을 의료비, 천재지변 등 부득이한 사유로 인출하는 경우
- 위 두 가지를 제외한 연금소득의 합계가 연 1,500만 원 이하인 경우 (선택적 분리과세 가능)
- 연금소득이 1,500만 원을 초과하더라도 종합소득세 신고 시 15% 세율로 분리과세 선택 가능
연금소득금액을 정확히 계산하고 연금소득공제 및 이자비용 공제를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퇴직·연금소득 원천징수 안내'를 검색하여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이 글과 함께 보면 좋은 글]
[연금소득]연금소득 원천징수 방법 총정리! 쉽게 이해하는 공적연금 & 사적연금 세금
금소득의 원천징수 방법에 대해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연금을 받을 때 세금이 어떻게 부과되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원천징수 방식을 한눈에 알아보겠습
1-plus.tistory.com
'원천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소득]연금소득의 수입시기 및 비과세 연금소득의 종류 (35) | 2025.03.02 |
---|---|
[연금소득]연금소득 원천징수 방법 총정리! 쉽게 이해하는 공적연금 & 사적연금 세금 (54) | 2025.03.01 |
[연금소득]연금소득이란? 공적연금과 사적연금 차이 및 과세 기준 총정리 (123) | 2025.02.27 |
[지급명세서]퇴직소득,연금소득,사업소득,금융소득,비거주자 및 외국법인의 지급명세서 제출 가이드 (25) | 2025.02.15 |
[지급명세서]기타 소득 지급명세서 제출 대상, 특별 사항, 기한까지 종합적으로 정리! (3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