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세금 관련 정보를 쉽고 명확하게 전달해 드리는 블로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천징수 세율에 대해 상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개인, 법인, 그리고 비거주자 및 외국법인의 원천징수 세율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1. 거주자 및 내국법인의 원천징수 세율
개인의 원천징수 세율
소득 | 종류구분 | 세율 |
이자 소득 | 비영업대금의 이익 | 25% |
직장공제회 초과반환금 | 연분연승법 적용 | |
실지명의가 확인되지 않는 소득 | 45% | |
금융실명법(제5조)에 따른 비실명소득 | 90% | |
그 밖의 이자소득 | 14% | |
배당 소득 | 출자공동사업자의 배당소득 | 25% |
실지명의가 확인되지 않는 소득 | 45% | |
금융실명법(제5조)에 따른 비실명소득 | 90% | |
그 밖의 배당소득 | 14% | |
사업 소득 | 원천징수 대상 사업소득 | 3% |
봉사료 | 5% | |
근로 소득 | 연말정산 | 기본세율 적용 |
매월 근로소득 | 간이세액표 적용 | |
일용근로자 | 6% | |
연금 소득 | 국민연금·공무원연금 등 | 간이세액표 적용 |
이연퇴직소득의 연금수령 | (이연퇴직소득세/이연퇴직소득)×70(60*)% | |
기타 소득 | 복권 당첨금 | 20% (3억 초과 30%) |
연금계좌 연금 외 수령 | 15% | |
종교인 소득 | 기본세율 적용 | |
퇴직 소득 | 퇴직소득 | 연분연승법 적용 |
법인의 원천징수 세율
소득 종류 | 세율 |
이자 소득 | 비영업대금의 이익: 25% |
기타 이자소득: 14% | |
배당 소득 | 투자신탁의 이익: 14% |
2. 비거주자 및 외국법인의 원천징수 세율 (조세조약이 없는 경우)
소득 종류 | 비거주자 | 외국법인 |
이자소득 | 20% (채권이자: 14%) | 20% (채권이자: 14%) |
배당소득 | 20% | 20% |
선박·항공기 임대소득 | 2% | 2% |
사업소득 | 2% | 2% |
사업료소득 | 20% | 20% |
유가증권 양도소득 | Min(양도가액 x 10%, 양도차익 x 20%) | Min(양도가액 x 10%, 양도차익 x 20%) |
기타소득 | 20% (15%) | 20% |
근로소득 | 거주자와 동일 | - |
연금소득 | 거주자와 동일 | - |
인적용역소득 | 20% (3%) | 20% |
퇴직소득 | 거주자와 동일 | - |
양도소득 | Min(양도가액 x 10%, 양도차익 x 20%) | Min(양도가액 x 10%, 양도차익 x 20%) |
3. 원천징수 세율, 왜 중요한가요?
원천징수는 세금을 미리 징수하여 납세 의무를 이행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특히 사업자나 프리랜서, 투자자라면 자신의 소득에 적용되는 세율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외국인 투자자나 외국 법인이라면 해당 국가와 한국 간의 조세조약 여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원천징수 세율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
1) 급여나 투자 소득에서 미리 공제되는 세금이므로 실수령액에 영향을 미칩니다.
2) 사업자라면 사업 소득의 원천징수를 고려해 세금 신고를 준비해야 합니다.
3) 해외 투자자나 외국법인은 조세조약 적용 여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원천징수 세율을 한눈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개인, 법인, 비거주자 및 외국법인까지 다양한 세율이 적용되므로 자신의 소득 유형에 맞는 원천징수 세율을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유익한 정보였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원천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급명세서]지급명세서 제출 안내, 제출 시기, 방법 및 가산세 정리 (21) | 2025.02.14 |
---|---|
[원천세]원천징수 가산세, 제대로 알아보기! (82) | 2025.02.13 |
[원천세]국세 신고납부 기한 총정리! 원천징수부터 지급명세서 제출까지 (42) | 2025.02.12 |
[원천세]원천징수 제외 및 배제에 대한 모든 것! 쉽게 알아보는 가이드 (23) | 2025.02.12 |
[원천세]원천징수 제도 완벽 정리, 세금 납부의 필수 개념 (59)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