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소득을 합산하여 2024년 5월 31일까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셔야 합니다. 기한내 신고·납부하지 않으시면 무신고가산세와 납부지연가산세를 추가로 부담하실 수 있습니다.
1. 사업소득
1)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 사업소득자의 사업소득금액 계산
사업소득금액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총수입금액 × 단순경비율)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 : 직전년도 연간 수입금액이 아래 기준금액 미만
(1) 도·소매업 등
6천만원
(2) 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3천6백만원
(3) 임대업, 서비스업 등 포함
2천4백만원
2) 인적용역 사업소득(3.3% 원천징수)이 있는 경우
2. 근로소득
일반적으로 근로소득은 연말정산을 하므로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입니다.
1) 2군데 이상에서 근무하고 해당 근로소득을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경우 ⇒ 모든 근로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하여야 합니다.
2) 근로소득 연말정산을 하였더라도 신고대상 다른 소득(사업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이 있는 경우 ⇒ 근로소득과 다른 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하여야 합니다.
3. 연금소득
국민(공무원·군인·교직원)연금 등 연말정산을 한 공적연금은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입니다.
1) 공적연금소득과 신고대상 다른 소득(사업소득, 근로소득, 기타소득)이 함께 있는 경우 ⇒ 공적연금소득과 다른 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하여야 합니다.
2) 사적연금은 합계액이 연간 1,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신고대상입니다.
연금저축계좌 :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공제 등
퇴직연금계좌 : 확정기여형퇴직연금계좌(DC), 개인형퇴직연금계좌(IRP) 등
4. 기타소득
일시적인 강연료·원고료 등 기타소득은 기타소득금액이 연간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신고대상입니다.
예시 : 강연료의 연간 총지급액이 800만원인 경우 기타소득금액은 320만원
강연료 기타소득금액=총지급액–(총지급액×필요경비율)=800만원–(800만원×60%)=320만원
'종합소득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간편장부대상자 복식부기 의무자 종합소득세신고시 장부 기장의 중요성 (5) | 2025.01.29 |
---|---|
[종합소득세]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 가이드 (6) | 2025.01.29 |
종합소득세신고 세액계산 흐름 및 종합소득세율 안내 (2) | 2024.03.03 |
종합소득세 신고납부 기한, 다음연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2) | 2024.03.03 |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소득, 간편장부대상자, 기준경비율 대상자, 종합소득세 신고 하기 (1) | 2024.03.02 |